
군산시민문화회관(이하 시민회관)이 128억9,000만원이 투입된 리모델링 사업 이후 공공성이 확보될 수 있는 문화예술공간이 될지 의문을 제기했다.
지난 11일 군산시의회 제276차 임시회 본회의에서 한경봉 의원이 군산시의 ‘군산시민문화회관’운영방식에 대한 문제 제기 이후 참여자치군산시민연대(이하 시민연대)도 같은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시민연대측은 15일 논평을 내고 먼저, 군산시는 ‘커넥트군산’이라는 민간업체에 군산회관 전체운영권을 10년 장기 사용허가 방식으로 맡기고 10년 더 연장할 수 있도록 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시민회관은 민간협력모델 도시재생인정사업으로 군산시는 건물 리모델링과 하자보수를 책임지면서 연간 5,000만원 정도(월 400만원) 임대료만 받는 형식이다”고 설명했다.
시민연대는 ”도시재생인정사업이 민간협력방식으로 민간이 주도하지만 시민회관은 군산시민이 문화예술을 향유하도록 공공성이 담겨진 공간이다“며 ”사용업체가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으로써 운영비젼을 보여주지 못할 경우 이에 대한 평가와 대안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시민연대는 한 의원의 자료를 인용하면서 ”시민회관 공연장 대관료는 4시간 기준 160만원, 하루 9시간 기준 320만원으로 책정돼 있다“며 ”군산예술의전당 대공연장(1200석, 대중공연 1일 100만원), 소공연장(450석, 대중공연 1일 50만원)과 비교하면 휠씬 높은 수준으로 군산시민 할인율을 적용해도 지역 예술인이나 단체, 심지어 군산시도 대여하기 어려운 수준이다”고 지적했다.
대관료 또한 현실에 맞지 않는 책정으로 공공성 훼손이라는 것이다.
시민연대측은 특히 ”8월 정식 개장을 앞둔 시민회관이 문을 닫고 방치돼 있는 동안 군산시민을 위한 문화예술공간으로 다시 돌아오겠다는 기대가 컸다“며 ”막대한 예산이 투입돼 리모델링을 마친 시민회관이 민간주도 운영을 통해 문화예술복합공간으로 재탄생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공연기획이나 공간 활용에 운영업체의 역량이 시민과 제대로 소통하지 못한다면 결국 ‘민간업체의 저렴한 임대사업장’으로 전락할 우려가 크다“며 ”공공성 확보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
끝으로 시민연대는 ”군산시는 시민회관 운영팀까지 두고 있다“며 ”운영평가 제도 도입, 대관료 현실화, 시민이용 접근성 보장을 위한 구체적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