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산해양경찰서는 항ㆍ포구에서 발생한 해양사고에 따라 대응 구역과 구조 세력을 다각화하는 ‘항ㆍ포구 사고 세분화 대응전략’을 마련해 시범운영에 돌입했다.
군산해경 관내에는 총 19개소의 항ㆍ포구와 마을어항이 있는데 관광객 추락, 정박어선 화재, 입ㆍ출항 어선 충돌, 해양오염 등 다양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항ㆍ포구에서 발생한 최근 3년간 발생한 추락, 익수 사고만 모두 17건에 이른다.
문제는 신고자의 위치에서 사고발생 지점을 파악하다 보니 정확한 위치 파악에 혼선을 빚는 일이 많고 관계기관과 역할분담도 중복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해경은 이번 시범운영 장소를 비응항과 군산항 남방파제 해안가로 지정하고 이를 14개 구역으로 세분화해 신고인을 중심으로 사고 가능지점을 파악하도록 설계했다.
또, 해경과 소방, 경찰 지구대가 회의를 통해 세분화 구역을 공유하고 사고 대응 진입방향 구분과 대응역할을 명확히 했다.
지난달 4일 발생한 비응항 내 무등록 어획물 작업선(Barge) 화재 후 이에 대한 전수조사 역시 실시해 작업선별 화재위험물을 파악, 소유ㆍ관리자 비상연락체계 구축으로 화재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도 이어졌다.
오 훈 군산해경 서장은 “이번 시범운영은 항포구 사고에서 가장 빨리 사고 위치를 찾고 여러기관이 효율적 대응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도하게 됐다”며 “약 1년간 시범운영을 거쳐 기대효과와 개선점 등을 분석해 확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