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산시의회에서 치매환자도 안심하고 살 수 있는 군산시를 만들자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를 위해 담당 공무원들은 자료를 토대로 치매환자에게 실질적 도움과 안전한 일상생활이 유지될 수 있도록 중증별 맞춤형 지원 정책을 발굴해야 한다고 제기했다.
김영자 시의원은 제 272회 2차 본회의 5분발언을 통해“요즘 치매 환자 실종문자와 치매가족의 극단적 선택 기사 빈도가 증가하며 안타깝게 하고 있다”며 “중앙치매센터자료에 의하면 지난 2023년 대한민국추정치매환자수는 1백만 명을 넘어섰으며 이는 60세 이상 10명 중 1명은 치매로 추정되며 1인당 관리비용으로만 2,300백만 원이 사회적 비용으로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군산시 60세 이상 인구수는 10만 명을 넘어서 전체인구의 38.9%를 차지하고 있고 추정치매환자수는 해마다 증가해 6,047명까지 도달해 있으며 경도인지장애가 있는 환자는 1만6,028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어디까지 추정이며 치매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환자는 실제 몇 명인지 그로 인해서 힘들어하는 가정은 몇 가구인지 치매가 진행되고 있는 시민은 몇 명인지 정확한 숫자는 제대로 조사하지 않아 알 수 없는 상황이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2023년 치매환자 실종신고는 한해 1만4,000 건으로 10년 동안 2배 가까이 증가했으며 자신도 모르는 사이 치매가 악화돼 생활 범위를 벗어나는 일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을 이어갔다.
김 의원은 “현재 군산시에서는 치매로부터 안심하고 살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중증도별로 국가 가이드라인에 맞춰서 예산을 편성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며 “25년 뒤 군산시 추정치매환자가 지금보다 3배는 더 많은 2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여 단계별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60세 이상 시민분은 군산시 치매안심센터를 통해 검사를 자발적으로 받아서 추정이 아닌 실제 정보가 축적될 수 있도록 적극 참여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 의원은 “치매관련 정책수립 시 검증되지 않은 사업을 평가받기 위해 따라하기보다는 데이터를 통한 실제 도움이 되는 정책을 발굴해 우리에게 맞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정책을 펼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진단을 받는 것만으로 두려움에 일상생활을 포기하는 시민이 없도록 안전하게 보호되고 일상생활이 보장되는 군산시를 만들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끝으로 “치매는 더이상 개인이 감당해야 할 문제로 치부해서는 안 될 사회적 문제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