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산시의회는 오는 10월 시행될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 별법’(이하 대광법) 개정에 군산시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시의회 김영일 의원(새만금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제276회 시의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발언을 통해 “군산지역 광역전철 노선과 새만금지역의 광역교통계획은 도대체 언제 어디에 어떻게 연계될 것이지 군산시와 전북자치도에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대광법 개정으로 전북에도 광역교통망 확충이 되는데 전주시는 ‘전주권 광역교통망’을 익산시는‘전북권 광역전철망’을 각각‘제5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2026~2030)에 반영하기 위한 용역을 진행해 왔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다른 지자체와 달리 군산에 대해서는 “군산노선에서 대야역과 새만금공항역 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최근까지 공개된 모든 자료에서 군산도심지역 전철역과 새만금신항역을 찾을 수가 없다”고 우려했다.
이어 “군산시는 그동안 어떤 계획을 하고 있었냐”며 “지난 4월 2일 대광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 이후 도시계획과는 군산시를 경유하는 광역철도노선을 발굴해 건의예정이고, 교통행정과는 새만금지역이 추가될 수 있도록 도에 건의하겠다”는 입장만 밝혔다고 군산시의 미온적 태도를 꼬집었다.
김 의원은 “수송동, 나운동 주변에 군산 인구의 절반이 거주하고 나머지 절반의 인구도 그 주변의 최단 거리에 살고 있다”며 “군산 남부지역에 추가 전철역 신설이 없다면 시내권에서 전철을 이용하는데 군산시민들은 큰 어려움이 뒤따를 것이다”고 걱정했다.
그러면서 “도로처럼 사고나 정체 위험도 거의 없고 유류비도 들지 않는 매우 저렴한 전철을 선호하는 도민들 덕에 전주와 익산 역세권에 ‘똘똘한’ 아파트 한 채 장만하는 것이 새로운 도민의 꿈이 될 것 같다”며 “제발 본 의원만의 기우이길 바란다”고 말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원활한 교통망 체계 구축은 그 지역의 발전, 나아가 인구유출과 관계가 있다”며 “교통계획 제출기한인 오는 8월 전까지 군산 미래를 위한 발빠른 대응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어“군산시는 전주의 광역도로, 익산의 광역전철이 현실화할 경우, 군산에 닥칠 위기와 기회는 무엇인지, 앞으로 어떻게 준비할 것인지 시민들에게 소상히 설명할 책임이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