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산시는 6일 군산시 청년뜰 청년강당에서 군산새만금신항 발전위원회(이하 새만금위원회) 정기회를 개최했다.
새만금위원회는 군산새만금신항 건설사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군산새만금신항의 개발 촉진과 발전 방향 등을 제언ㆍ자문하기 위해 구성된 위원회다.
현재 항만물류 분야 교수, 관련 전문가, 항만관련 기관 단체장, 지방의회 의원 등 총 20명이 참가하고 있다.
이번 정기회는 ▲2024년 군산항·군산새만금신항 추진 사항 ▲2025년 군산항·군산새만금신항 추진계획 보고 ▲평택대 정수현 교수의 ‘항만정책이 패러다임의 변화 : 항만과 도시의 조화’ 강의 ▲의견 청취와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먼저 군산시는 위원들에게 올해 추진된 사업에 대해 보고했다.
주요 사업은 ▲군산항·군산새만금신항 원포트 전략 수립 ▲군산항·군산새만금신항 정책 포럼 및 학술대회 ▲항만관계자 역량강화사업 ▲군산시 이·통장 현장 교육 등이 있다.
보고를 마친 시는 내년에도 군산새만금신항의 관할권 확보를 위해 다양한 시책 업무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평택대 정수현 교수의 강의가 이어졌다.
정 교수는 환경적 측면에서 항만 주변지역 부정적 효과를 설명하며 군산새만금신항의 군산 관할권의 정당성을 설명했다.
정 교수는 “앞으로 항만정책은 단순히 항만이 아닌 그 주변 지역과 함께 이뤄진 항만도시로서 발전해야 하며 항만과 지역 성장을 위해 지역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의를 마무리했다.
군산시 관계자는 “군산새만금신항은 전기·수도·통신·가스 등 모든 기반 시설이 군산시를 기점으로 공급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인접 지역 환경관련 문제도 시민들에게 가장 큰 영향이 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더더욱 군산새만금신항의 관할권 확보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군산새만금신항은 옥도면 무녀도·신시도·비안도 사이 공유수면에 옥도면 두리도와 연접해 인공섬 형태로 조성돼 군산항을 보완할 예정이다.
또한 새만금 지역 배후단지의 물동량을 처리하기 위해 계획된 항만으로 1단계로 2030년까지 6개 선석, 2단계로 2040년까지 3개 선석을 건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