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기아타이거즈 감독이자 현 광주광역시 야구소프트볼협회 김성한 회장(군산상일고 33회)이 모교 후배들의 꿈을 응원하기 위해 군산상일고등학교를 찾았다.
김성한 전 감독은 지난 18일 오후 2시 모교인 군산상일고에서 초청 강연에 나섰다.
군산상일고 야구부 학생들과 학부모, 교직원, 지역 야구인을 대상으로 이뤄진 특강에서 김 전 감독은 저서의 제목인 ‘나의 인생 나의 야구’를 주제로 자신이 경험한 50년 야구 인생을 전했다.
김 전 감독은 “50여 년 전 이곳에서 후배 여러분들처럼 이곳에서 땀을 흘리던 시절을 회상하니 감회가 새롭다”며 강의의 포문을 열었다.
이날 김 전 감독은 어린 시절 야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와 초등학교 시절 승승장구했던 이야기 중학교 시절 식당을 운영하던 어머니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가세가 기울고 방황하며 야구를 그만두려던 시절의 어려웠던 이야기를 전했다.
도 사춘기 시절 맞닥뜨려 방황 속에서 자신을 돌보지 않던 시절 올바른 길로 인도해 주신 이준원 선생님에 대한 사랑과 보살핌 덕분에 다시 야구에 집중할 수 있던 시절을 회상했고 대학 시절과 프로선수 시절 그리고 기아타이거즈 감독 시절과 이후 모교 군산상일고에서 감독으로 후진 양성에 힘썼던 이야기를 이어갔다.
이날 오도영 학생(3학년)은 프로에 입단한 선배들은 팀훈련은 하루에 2~3시간 정도만 하고 나머지는 개인훈련을 한다고 들었는데 고등학교 학생선수 시절과 프로선수로서 필요한 기량과 역량의 차이가 있는지 질문했다.
이에 김 감독은 “팀훈련을 수비력을 강화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프로선수이기 때문에 스스로 알아서 하는 개인훈련이 중요하다는 생각은 단편적인 생각이다”며 야구는 단체운동이며 무엇보다 팀의 조직력이 가장 필요함을 강조했다.
특히 김 감독은 “프로선수와 감독생활로 날선 신경과 전투적인 상황에 만연되다 보니 뒤를 돌아보는 시간을 갖지 못한 게 후회가 된다”며 “야구를 그만둔 후 사회에 나오게 되면 인간관계가 중요하다는 점을 알고 야구 실력 못지않게 올바른 인성도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