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 수중고고학센터 조감도
1,000억원 이상 국비가 투입되는 ‘국립 수중고고학센터 건립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두 번이나 탈락하면서 사업 규모를 줄이는 것까지도 고려될 것으로 보인다. 두 번의 예타 탈락 여파로 사실상 사업 추진 동력을 잃어가는 셈이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이하 연구소)에 따르면 총사업비를 500억원 미만으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오는 2027년 사업 타당성에 대한 검토용역을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국립 수중고고학센터 건립사업은 고군산군도 등 군산시 인근 해역에서 발굴되는 해양유물들의 체계적 전시‧관리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으로 국비 1,111억원이 투입되는 만큼 지난 2023년과 2024년, 두 차례에 걸쳐 예타에 도전했다.
하지만 사업의 시급성과 필요성 등을 이유로 두 번 모두 예타에서 탈락했고 이에 사업비를 축소하는 방향도 검토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소 관계자는 “사업의 필요성이나 시급성에 대해 기획재정부가 공감하지 못했고 여러 가지를 고려해봤을 때 사업 규모를 축소해서라도 진행해야 하지 않냐는 고민을 하고 있다”면서 “다만, 군산시와 전북자치도와 협의를 해봐야 할 부분이다”고 전했다.
군산시와 전북도는 “이에 대해 인지한 상태이나 정해진 것은 아니다”면서 “국립 수중고고학센터 건립 추진 의지에는 변함이 없다. 논리 보강과 국비 확보 등 센터 건립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국립 수중고고학센터는 비응도동 일대에 부지 7만㎡, 건축면적 1만6,800㎡ 규모로 조성할 예정이었으며 주요시설로는 교육훈련시설, 연수시설, 보존처리시설, 수중난파선과 유물수장고 시설 등이 예상됐다.
센터가 건립될 새만금 해역은 역사상 세곡선과 무역선이 지나던 뱃길인 조운로와 대중국 교역 거점으로 고려시대 선박 1척을 비롯해 유물 1만7,700여 점이 발굴된 바 있다.
하지만 군산 등 전북에는 수중유물을 보존 처리할 수 있는 전문기관이 없어 발굴된 유물 모두가 목포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로 옮겨지고 있다.
이에 지역에서 수중유물을 발굴하고 보존할 수 있는 ‘국립 수중고고학센터’ 건립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군산시 관계자는 “국립 수중고고학센터가 건립되면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와 더불어 해양 문물 교류 통로가 됐던 군산을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센터의 조속한 건립을 위해 전북도, 연구소와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