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신문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컬럼/기고

<특별칼럼>도농 통합 30년, 비로소 보인다

신동우 前 군산시 농업기술센터 먹거리정책과장

군산신문2025-08-21 14:56:51 링크 인쇄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1만8,156명, 통합 군산시의 성적표다.

 

1994년 말 276,203명에서 2024년 같은 시기 258,047명을 기록했다. 군산시와 옥구군 통합 30년, 통합 시작 대비 6.6% 하락한 결과다. 도시를 인구 추이와 지표로 다 설명하긴 어렵다. 다양한 지표들이 동원되어야 맞다. 하지만 인구는 도시의 성장을 단순하고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도구다.

 

일반적으로 도시는 형성, 발전, 번영, 쇠퇴의 생명 주기를 거친다. 이 이론에 의하면 군산시의 지난 30년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1995년 통합 도시의 형성으로 풀어보자. 인구 구조상 2011년에서 2017년이 도시의 번영기로 특정된다. 자동차, 조선 등으로 새롭게 구조화한 시기다.

 

군산에서 자동차 산업과 조선 산업... 태동, 성장, 성숙, 쇠퇴가 여느 제품의 주기처럼 나타났다 사라진 정말 특이한 사례다. 채 펴보지도 못했고 채 누리지도 못했다. 그 충격에 길을 잃었을까. 누군가 그런 혼돈의 와중에 새만금을 유토피아적 환상의 땅으로 각인했다.

 

기억이 가물가물한 1994년, “어차피 동일 생활권이니 생활비를 아끼고 더 잘 살려면 합치자”했다. 다만 “농업․ 농촌은 서운하지 않게 하겠다….”,“관료 조직, 유관기관, 농업인들도 상대적 박탈감을 갖지 않도록 하겠다.” 고 언약했다.

 

농촌 예산을 드잡이 하는 사람들에게는 “절대 그럴 일이 없을 것이다.”라고 다독였다. 통합이 공존공생하는 길이라고 일갈했다. 하여 “함 믿어보자.” 옥구군도, 군산시도 폼나게 밀어주었다. 1995년 1월 1일, 그야말로 일사천리. 그해 연말에는 3천여 명의 인구가 늘었다. 소수의 반대 의견도 잦아졌다. 통합론자들의 기세는 말해서 무엇하리.

 

하지만 지난 30년을 따져보면 꼭 그런 것만도 아니다. 결과론이긴 한 것은 맞고. 그 기간 중 16년은 시작 때보다 인구가 많았다. 나머지 14년은 그때보다 적었다. 인구의 잣대로 보면 도농 통합의 편익을 긍정하기도 부정하기도 모호한 구석이 있다. 톱아보면 통합하지 않았다면 그 군산시는 지금 무슨 먹거리로 살아졌을까? 하는 의구심이 날 정도다.

 

통합 전에는 고군산군도, 국가산업단지, 새만금.. 전부 옥구 관할 지역이었다. 지금 군산의 미래를 담근질 하고 있는 지역과 겹친다. 통합 내내 도시와 농촌의 창의적 융복합 모델은 없었다. 지역 균형 발전도. 겨우 로컬푸드 직매장 등을 통한 지역 농산물의 도시 유입, 그래봐야 우리시 연 먹거리 소요액의 3% 미만이다. 지역 순환 경제의 핵심 작동 축이 도시의 장벽에 막혔다.

 

도시는 이해타산의 성이다. 도시의 누구도 이 막힌 관계 혈로를 뚫는데 적극적이지 않다. 통합의 정신을 되살려 귀 기울여 듣지 않는다. 그 상생의 약속은 폐기된 지 오래다. 마트에서 군산 쌀을 찾기가 쉽지 않다.

 

농민은 부아가 치민다. 통합 후 도시 중심의 행정의 소산일 수 있다. 그 기조는 소멸의 속도를 높였을 뿐이다. 군산시는 쇠퇴기에 있다. 여기저기 덧대고 잇댄 재생의 깃발이 펄럭인다.

 

문제는 재생이든 신생이든 본질에서 멀어지는 것이다. 끝이 없는 숨바꼭질을 한다. 술래는 월명동에 있는데 사람들은 조촌동, 내흥동까지 숨어들었다. 술래 가까이엔 사람은 없고 반집들만 잡풀처럼 무성하다.

 

군산시와 옥구군 통합의 후과를 들쑤시려는 것은 아니다. 그때를 반영하여 지금 보니 물인지 막걸리인 모르겠다는 말이다. 역으로 도시 중심의 행정보다 농촌 중심의 행정으로 해석의 얼개와 경영의 방식을 달리했다면 도농의 역학이 변했을까? 한국은행 자료에 실마리가 있다.

 

2022년 기준 산업별 취업유발계수는 농림수산업 23.4명, 서비스업 10.0명, 건설업 9.2명, 공산품 4.9명 순이다. 농식품 제조․가공산업은 26.1명이다. 일자리가 있어야 지역은 유지된다. 첨단산업은 고용 없는 산업이다. 익히 경험한 대로 그 생명주기도 짧다. 산업의 포토폴리오를 위해서라도 옥구군민의 목소리를 그때 귀 담아 들어보기라도 할 것을…

 

기실 옥구군은 군산시에 너무 쉽게, 매우 빠르게 종속되었다. 농업인단체에서 ‘본 예산의 10%를 농업예산으로’ 30년을 외쳤다. 잊혀진 언약, 그토록 벼루던 산업 구조 전환...정치로는 조율되지 않았다. 그러곤 다시 잃은 균형과 고용 없는 산업 속으로.... 그래서 억지 가정이라도 하고 싶다.

 

통합되지 않았다면 옥구군과 군산시는 각기 어떤 돌파구를 찾아왔을까? 두 시군의 총합은 어떠하고. 성하의 계절, 농촌을 보자니 시리다.

    <외부칼럼은 본사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군산신문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카피라이터

LOGIN
ID저장